중소기업에 취업하면 소득세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, 알고 계셨나요? 특히 청년, 60세 이상, 장애인, 경력단절 여성이라면 최대 90%까지 소득세를 감면받을 수 있어요. 이번 글에서는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에 대한 감면 요건, 신청 방법, 주의사항까지 자세히 알려드릴게요.
1.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이란?
중소기업에 취업한 특정 계층(청년, 고령자, 장애인, 경력단절 여성)이 소득세 감면을 받을 수 있는 제도로, 조세특례제한법 제30조에 근거하고 있어요.
👉 적용 기한: 2026년까지 연장되었어요.
2. 소득세 감면 대상과 조건은?
- 청년: 근로계약 체결일 기준 15~34세 이하, 군복무 기간(최대 6년) 차감 후 계산
- 고령자: 근로계약 체결일 기준 60세 이상
- 장애인: 장애인복지법, 국가유공자법, 5·18민주유공자법, 고엽제후유증 판정자
- 경력단절 여성:
- 퇴직 전 1년 이상 근로 소득이 있어야 해요.
- 결혼, 임신, 출산, 육아, 자녀 교육 사유로 퇴직해야 해요.
- 퇴직 후 2~15년 이내 동종 업종에 재취업해야 해요.
- 해당 기업의 최대주주나 특수관계인이 아니어야 해요.
3. 소득세 감면율과 한도는?
구분 | 감면기간 | 감면율 | 감면 한도 |
청년 | 5년 | 90% | 과세 기간 별 200만 원 |
고령자 | 3년 | 70% | - |
장애인 | 3년 | 70% | - |
경력단절 여성 | 3년 | 70% | - |
4. 감면 신청 방법은?
- 근로자: '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신청서'를 회사에 제출해요.
- 회사: '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명세서'를 세무서에 제출해요.
💡 Tip: 회사가 중소기업에 해당하는지, 감면 절차는 회사의 인사/재무 담당자에게 문의해 보세요.
자주 묻는 질문 (FAQ)
- Q: 감면 대상 중소기업은 어떤 기업인가요?
A: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에 따른 중소기업으로,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제27조에 규정된 감면 대상 업종을 주된 사업으로 영위하는 기업이에요. - Q: 청년 소득세 감면의 군복무 기간 차감은 어떻게 계산하나요?
A: 근로계약 체결일 기준으로 군복무 기간(최대 6년)을 차감하고 계산해요. - Q: 경력단절 여성의 감면 조건 중 '동종 업종'의 기준은 무엇인가요?
A: 이는 한국표준산업분류표를 기준으로 판단해요. - Q: 중소기업 감면 신청서 양식은 어디서 받을 수 있나요?
A: 국세청 누리집 또는 회사의 인사/재무 담당자를 통해 받을 수 있어요. - Q: 감면 신청 시 필요한 서류는 무엇인가요?A: 일반적으로 감면 신청서, 근로계약서, 관련 증빙 서류가 필요해요.